본문 바로가기
日本語

우리말 우리글 일본식 용어 (일본식 한자단어) 999

by 베리베리 2008. 10. 4.

"우리말 우리글 일본식 용어 999"(신동아 1998년 8월호)

일본식 / 우리식

가격(價格) / 금, 값

가계(家計) / 생계(生計)

가두(街頭) / 노상(路上), 길거리

가령(假令) / 설사, 설혹, 설령

가면극(假面劇) / 탈놀음

가면무(假面舞) / 탈춤

가봉(假縫) / 시침바느질(옷을 말라서, 아직 정작으로 바느질을 하지 않고

우선 솔기를 붙여 듬성듬성 꿰매어 옷이 맞고 아니맞음을 뼘

어보는 것)

가수(歌手) / 가인(歌人), 가객(歌客), 소리꾼

가신(家臣) / 청지기, 노랑수건

가옥(家屋) / 집

가일층(加一層) / 한층더

가장(家長) / 집어른, 바깥주인

가정교사(家庭敎師) / 독선생

가정(家庭) / 집안

가창(歌娼) / 들병이

가치(價値) / 값, 값어치

가택수색(家宅搜索) / 집뒤짐

각목(角木) / 목봉(木棒), 몽둥이

각하(閣下) / 님

간간(間間) / 간혹, 혹간

간격(間隔) / 간각(間刻), 간통(間通)

간과(看過) / 눈지나보기(가볍게 보다)

간담회(懇談會) / 정담회(情談會)

간병(看病) / 병구완

간부(幹部) / 목대잡이

간사(幹事) / 줏대잡이

간석지(干潟地) / 개펄

간수(看守) / 쇄장(鎖匠), 쇄장이, 옥사장이, 사장이

간식(間食) / 샛밥, 새참, 새, 군음식

간조(干潮) / 감물(감에 들다=뱃사람들이 쓰는 말로 물이 썰 때에 아주

좋아서 극한에 이르면 「감에 들었다」고 한다. 그러므로

감에 든 물을 「감물」이라고 함이 옳음)

간주(看做) / 보다, 보아 여기다

간취(看取) / 보아 알다, 보아내다, 잡아내다

간친회(懇親會) / 친목회(親睦會)

간통(姦通) / 통간(通姦)

간판(看板) / 보람판(大), 보람패(小)

갈색(褐色) / 다색(茶色)

감각(感覺) / 느낌

감독(監督) / 잡도리장이

감봉(減俸) / 월봉(越俸)

감사(感謝) / 고마움

감사(監査) / 안렴(案廉)

감상(感想) / 소감(所感)

감정인(鑑定人) / 감쪼이

갑(岬) / 곶

강간(强姦) / 겁간(劫姦), 강음(强淫)

강령(綱領) / 제갈길

강요(强要) / 윽박

강장제(强壯濟) / 보약(補藥)

강제(强制) / 우격다짐

강조(强調) / 그루박음

개간(開墾) / 일굼, 띠짐, 신풀이

개괄(槪括) / 뭉뚱그림

개량(改良) / 개선(改善), 고침, 바로잡음

개비(改憊) / 갊, 바꿈

개소(個所) / 군데(일 개소=한 군데)

개수(改修) / 고침, 손봄

개전(改悛) / 뉘우침, 뉘우쁨

개조(改造) / 개변(改變)

개찰(改札) / 표찍음, 표보임

개척(開拓) / 새로 틂

개척(開拓) / 일굼, 헤쳐나감

개체(個體) / 개물(個物), 낱몸

개통(開通) / 열림, 뚫림, 트임

개폐(開閉) / 여닫음

갱미(粳米) / 멥쌀

거류민(居留民) / 머물러 사는 사람

거치(据置) / 매두기

건답직파(乾沓直破) / 마른논 곧뿌림

건명태(乾明太) / 북어(北魚):「건명태」또는「마른명태」라는

말을 쓰고 있는데, 이것은 일본 사람들이 쓰던

「호시멘다이」를 그대로 옮긴 것으로, 우리한테는

없는 말임.

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는「생선명태」를 말할 때

「생선」이라는 말은 붙이지 않고 그냥 「명태」라

하고 말린 것은 「북어」라고 하였음. 겨울에 새로

나오는 북어를「햇북어」라 하고, 북어 스무 마리를

한줄에 꿴 것을「북어 한 쾌」라 하였으며, 「북어

무침」「북어포」「북어국」「북어저냐」「북어조림」

「북어찜」 등 여러 가지 반찬을 만들어 먹었지,

「건명태」 또는 「마른명태」라는 말은 없음

건(件)기 / 발기

검도(劍道) / 격검(擊劍)

검사(劍士) / 검객(劍客)

검사(檢査) / 살펴봄, 훑어봄

검토(檢討) / 따져봄

격투(格鬪) / 맞싸움

견인(牽引) / 끌어당김

견적서(見積書) / 발기(물품명이나 금액을 열기해 놓은 것),

물목발기(物目件記)

견적(見積) / 머리잡기, 발기내기, 발기뽑기

견제(牽制) / 견철(見?)

견지(見地) / 보는 바, 보는 땅

견책(譴責) / 추고(推考)

결과(結果) / 뒤끝, 열매

결국(結局) / 마침내, 끝끝내, 끝판, 맴돌아

결론(結論) / 단안(斷案), 귀결(歸結)

결본(缺本) / 궐본(闕本)

결석계(缺席屆) / 말미사리(「말미」는 「사유·휴가·결근」의

뜻을 가진 말이요, 「사리」는 「여쭙는 글」

이라는 말이니, 「말미사리」는「결근하는 까닭을

고하는 글」이라는 말이 된다)

결석(缺席) / 궐석(闕席)

결원(缺員) / 궐원(闕員), 흠원(欠員)

결의(訣議) / 의결(議決)

결재(決裁) / 재결(裁決)

결점(缺點) / 흠절(欠節)

결정(決定) / 못박음, 아퀴지음

겸임(兼任) / 겸대(兼帶)

경계(境界) / 지계(地界), 살핌

경기(景氣) / 세월, 시세(세월 좋다, 시세 좋다, 좋은 시절)

경내(境內) / 터 안, 테 안

경매(競賣) / 뚜드려 팔기, 공박(公拍;갑오경장 이후 대한제국

말까지 썼던 말로 값을 25전씩 올려 부르게 돼 있음)

경작지(耕作地) / 논밭, 부침땅

경쟁(競爭) / 겨룸, 싸움, 시새움

경질(更迭) / 바꿈

경쾌(輕快) / 가뜬, 차도(差度)

경향(傾向) / 쏠림, 낌새

경험(經驗) / 겪음, 맛봄

경호(警護) / 지킴, 보살핌

계 (係) / 빗 : 등분 낮은 구실아치나 궁궐과 육조(六曹)와 외방(外方)의

관아에서 허드렛일을 맡아 하던 이들을 가리키던 말로,「빗아

치=아전」 「반빗아치=찬비(饌婢)」「승전빗(承傳色)=궁중내시)」

「일군빗(一軍色)=병조)」 「세폐빗(歲幣色)=호조)」「회계빗(會

計色)」 같은 것들이 있었음.

「빗아치막」이라는 말이 있었는데, 빗은 계(係)요, 아치는 원(員)

이요, 막은 막(幕)이니, 계원댁(係員宅)이라는 말이 됨.

「국(局)」 「과(課)」는 전부터 쓰던 우리말임

계급(階級) / 자리, 지체

계기(契機) / 동인(動因)

계산(計算) / 셈

계산서(計算書) / 장기(掌記·帳記)

계속(係屬) / 매임

계속(繼續) / 줄곧, 잇달아

계약(契約) / 언약(言約)

계절(季節) / 사시(四時), 사서(四序)

계통(系統) / 종내기

계획(計劃) / 얼거리, 꾀

고급(高級) / 상등(上等), 윗등

고뇌(苦惱) / 걱정, 시름

고등(高等) / 상등(上等)

고리(高利) / 고변(高邊), 중변(重邊), 비싼 변

고발(告發) / 발고(發告)

고사목(枯死木) / 강대나무

고수부지(高水敷地) / 둔치

고수(高手) / 상수(上手), 선수(善手), 일수(一手)

고시(告示) / 방(榜), 알림

고심(苦心) / 애씀

고유(固有) / 토박이, 제바닥

고장(故障) / 층절(層折), 탈

고정(固定) / 붙박이

고참(古參) / 구참(久參):「고참」은 옹근 왜말로,

우리말에는 오래된 수행자(修行者)를

이르는「구참납자(久參衲子)」라는 말이 있음

곡물(穀物) / 곡식(穀食)

골격(骨格) / 뼈대

골계(滑稽) / 해학(諧謔), 익살:「골계」를 왜말로 보는 이들도

있으나 『사기(史記)』의 「골계다지(滑稽多智)」

에서 유래된 것이므로 꼭 왜말이라고는 볼 수 없음

골절(骨折) / 절골(折骨)

공가(工價) / 공전(工錢)

공간(空間) / 얼안, 빈 곳

공개(公開) / 보임, 알림

공구(工具) / 연장, 연모

공급(供給) / 대주다, 이바지하다, 바라지하다:한 사람이 쓰기에

소용되는 것을 다른 한 사람이 잇달아서 대준다는 말

공납(公納) / 바침

공동(共同) / 함께

공모(共謀) / 동모(同謀), 통모(通謀)

공무(公務) / 공고(公故)

공문(公文) / 노문(路文)

공사(工事) / 역사(役事)

공산(共産) / 함께나히

공설운동장 / 배꼽마당(동네 한가운데 있는 마당)

공시(公示) / 두루 알림, 두루 보임

공작(工作) / 만들기, 꾸미기

공허(空虛) / 허공(虛空;우리 명수법)

공헌(貢獻) / 기여(寄與), 이바지

공훈(功勳) / 훈공(勳功)

과세(課稅) / 세매기, 세매다

과시(誇示) / 잼, 뻐김

관계(關係) / 계관(係關)

관보(官報) / 기별(寄別)

관점(觀點) / 보는 점, 보는 바

괘지(罫紙) / 인찰지(印札紙)

괴뢰(傀儡) / 꼭두각시, 허수아비

교과서(敎科書) / 교본(校本)

교량(橋梁) / 다리

교수형(絞首刑) / 처교(處絞), 자리개미

교정(敎程) / 교본(敎本)

교정(校正) / 교준(校準), 교합(校合), 준보기, 준(準)

교제(交際) / 상종(相從), 과종(過從)

교체(交替) / 교대(交代), 체대(替代), 번갊, 손바꿈, 갈마듦, 겨끔내기

구내(構內) / 울 안

구매(購買) / 구입(購入)

구신(具申) / 갖추사리

구역(區域) / 가른땅

구전(口錢) / 구문

구조(構造) / 얽이, 얽음새

구축(驅逐) / 쫓아냄

국경(國境) / 국계(國界), 방강(邦疆), 강역(疆域)

국면(局面) / 판, 운덤

국민(國民) / 인민(人民)

국방색(國防色) / 황록색, 사슴빛

국판(菊版) / 오칠판(五七版)

군무(群舞) / 무리춤

군(君) / 총각(總角;손아래), 형(兄;평교간)

권력(權力) / 힘부림

권번(券番) / 교방(敎坊), 기생도가

근시(近視) / 바투보기

급사(給仕),소사(小使) / 사환(使喚), 사동(使童), 사역(使役),

심부름꾼, 손대기

급소(急所) / 요해(要害)

긍지(矜持) / 자긍(自矜), 자랑

기결(旣決) / 결정됨

기계제품 / 기계치, 쇠물레치

기계(機械) / 쇠물레

기구(器具) / 연모(무슨 일을 할 때에 쓰는 연장이나

재료를 통틀어 이르는 말), 그릇

기도(企圖) / 계획, 생의(生意)

기본(基本) / 바디

기분(氣分) / 심기(心氣)

기성품(旣成品) / 가게내기

기안(起案) / 초안(草案)

기장(記帳) / 치부, 등록, 올림

기중(忌中) / 상중(喪中)

기합(氣合) / 합기(合氣)

기호품(嗜好品) / 입맛 맞는 것, 비위 맞는 것

기회(機會) / 사품

끽다점(喫茶店) / 찻집

끽다(喫茶) / 차 마심

끽연(喫煙) / 담배 피움

나병환자 / 용천뱅이, 문둥이

낙서(落書) / 장난글씨

남성기(男性器) / 숫부끄리, 숫불이틀, 외눈박이, 기름공이, 풋망이

납득(納得) / 이해(理解)

납치(拉致) / 거납(去拉), 납거(拉去)

낭하(廊下) / 복도, 골마루

내신(內申) / 속사리

내역(內譯) / 명세(明細), 속가름(「가름」은 분석 또는 해석이라는

뜻이니, 「속가름」은 곧 내용을 해석한다는 말임)

내제자(內弟子) / 무릎제자(무릎을 마주하고 앉아 가르친 제자)

내홍(內紅) / 내분(內紛)

노동자(勞動者) / 일꾼

노숙(露宿) / 한둔, 한뎃잠

노점(露店) / 한뎃가게

노파심(老婆心) / 지나친 걱정

논리(論理) / 신론(申論)

농로(農路) / 사랫길(논밭 사이로 난 길)

농악(農樂) / 풍물(風物)

뇌물(賂物) / 화뢰(貨賂)

다분(多分) / 아마

다완(茶碗) / 공기, 찻종

단배식(團拜式) / 시무식(始務式)

담당자(擔當者) / 맡은이, 빗아치

답신(答申) / 대답사리

답절(踏切) / 건널목

당뇨병 / 소갈질(消渴疾)

당분간 / 아직, 얼마간, 얼마 동안

대개(大槪) / 거반, 거의

대변(大便) / 똥, 말, 큰것, 대마

대본(貸本) / 세책(貰冊)

대본서점(貸本書店) / 세책점

대세(大勢) / 여럿, 흐름

대절(貸切) / 독세

대절차(貸切車) / 독세차, 독차

대점포(貸店鋪) / 셋가게

대지(大地) / 곤여(坤輿)

대질(對質) / 면질(面質)

대합실(待合室) / 기다림방

도락(道樂) / 오입(誤入), 소일(消日)

도약(跳躍) / 몽구르기(멀리 또는 높이 뛰기 위하여 두 발을 모두어

힘차게 뜀, 또는 어떤 일을 하려고 벼르거나 굳게 마음

먹음), 몽그림

도제(徒弟) / 계시 : 바치쟁이(기술자)가 자기의 바치(기술)를

다른 사람에게 전해주기 위해 젊은 사람을 가려

뽑아 일터로 데리고 다니면서 바치를 가르쳐 주는데

그 배우려고 따라다니는 사람

도중(途中) / 중로(中路), 노상(路上)

도화사(道化師) / 어릿광대

독신(獨身) / 홑손

동경일백칠십도팔부 / 동경일백칠십도팔분

동맥(動脈) / 날핏대

동맹(同盟) / 결맹(結盟)

동면(冬眠) / 겨울잠

동물(動物) / 숨탄 것:「숨을 불어넣음을 받은 것」이라는 뜻으로,

사람을 비롯한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임

동반(同伴) / 작반(作伴), 작려(作侶), 동행(同行)

두취(頭取) / 행수(行首), 장(長)

등급(等級) / 등분(等分)

등산(登山) / 입산(入山)

마진(痲疹) / 홍역, 마마, 손님

만기(滿期) / 과만(瓜滿)

만사(萬事) / 매사(每事)

만조(滿潮) / 물참, 참서다(뱃사람들이 쓰는 말로 물이

밀어서 극한에 이르면「참이 섰다」고 함)

말소(抹消) / 말거(抹去), 지움, 짓기

매도(罵倒) / 침뱉음

매도(賣渡) / 팔아넘김

매도증서(賣渡證書) / 팔아넘긴 표

매독(梅毒) / 창병(瘡病), 찰담쟁이

매력(魅力) / 끌심, 당길심

매수(枚數) / 장수(張數;종이같이 얇은 물건의 숫자를 나타내는

「매」는 일본말임. 넓적한 조각으로 생긴 물건을

세는 데 쓰는 우리말은「매」가 아니라 「장」이니,

이른바 문자동네에 종사하는 이들이 흔히 쓰는

「원고지 몇 매」는 「몇 장」이 맞는 것임. 우리말의

「매」는 숟가락 하나와 젓가락 한짝을 함께 묶어 셀

때나 종지나 보시기 또는 사발같이 작은 그릇 열 개씩

묶은 것을 셀 때 쓰는 말임.

종이·철판·구들장·모물(毛物)·벽돌·슬레이트나

보일락 말락 엷게 떠 있는 구름장같이 상대적으로 얇은

물건 따위를 세는 이름수의 우리말 단위가 「장」임.

또 하나 무덤을 세거나 누에씨를 셀 지경에 쓰이는 것도

「장」임)

매일(每日) / 날마다

매장(埋藏) / 묻음

매절(賣切) / 다 팔렸다, 다 나갔다, 떨어졌다

매진(賣盡) / 동남

매진(邁進) / 애써나감

맥박(脈搏) / 피통

면식(面識) / 안면, 면분, 낯

면직(免職) / 견태(見汰)

명도(明渡) / 내주기, 비워주기

명부(名簿) / 명적(名籍)

명인(名人) / 국수(國手):「국수」는 나라 안에서 바둑을

가장 잘 두는 사람만이 아니라 의술(醫術)이

가장 뛰어난 사람, 그리고 글씨·그림·소리·

춤·연주·기예(技藝) 등 나라 안에서 가장

뛰어난「쟁이」들에게 바치는 가장 아름다운

꽃다발이었음

명찰(名札) / 이름표

명함(名啣) / 명자(名刺)

모범(模範) / 본

모의(模擬) / 모방(模倣), 본떠 흉내냄

모포(毛布) / 담요

모피(毛皮) / 모물(毛物)

목차(目次) / 벼리

목찰(木札) / 목패(木牌), 나무패

목초지(牧草地) / 풀갓

목초(牧草) / 꼴

묘목(苗木) / 모나무, 애나무

묘소(墓所) / 산소(山所)

무도(武道) / 무예(武藝)

무량대수(無量大數) / 무량수(無量數;우리 명수법(命數法)

무사(武士) / 싸울아비

무승부(無勝負) / 비김, 가웃

무역상(貿易商) / 남북상(南北商)

무인(拇印) / 손도장

무직인(無職人) / 한산인(閑散人)

문단(文壇) / 문원(文苑)

문명(文明) / 삶판

문민(文民) / 군사정권과 반대되는 뜻으로 사용중인「문민」이란 말이

사실은 50년 전 일본에서 만들어진 조어(造語)인 것으로

밝혀졌다. 일본 참의원이 96년 1월21일 공개한 자료에

따르면 「문민」이라는 말은 1946년 귀족원 제국형법

개정특별위원회 소위원회가 영어의「시빌리언(civilian)」

대신 쓸 말로 만들어냈다는 것. 당시 소위원회는 내각총리

대신과 그 밖의 국무대신은「시빌리언」이 아니면 안된다는

연합군총사령부(GHQ)의 요구에 따라「평민(平民)」

「문신(文臣)」「문인(文人)」「범인(凡人)」「문화인(文化人)」

「평화업무자(平和業務者)」 등의 용어를 검토하다가

결국「문민」이란 단어를 채택했다.(「중앙일보」96년1월23일)

문진(文鎭) / 서진(書鎭), 진지(鎭紙)

물증(物證) / 형증(形證)

미곡상(米穀商) / 싸전, 시게전

미술(美術) / 그림(「그리움」이 줄어든 말임)

미완성(未完成) / 꽝철이

민사소송(民事訴訟) / 사송(詞訟)

밀매음녀(密賣淫女) / 은근짜[[隱君子]]

바오달 / 병영(兵營)

박두(迫頭) / 닥쳐옴

박살(撲殺) / 요절냄, 때려죽임

반송(返送) / 퇴짜놓음, 퇴함

반품(返品) / 가재침

반항심(反抗心) / 배알티

발발(勃發) / 갑자기 일어남

발휘(發揮) / 떨침

방법(方法) / 모양도리(某樣道理), 도리, 수, 돌멤이

방사(放飼) / 놔먹임

방조(傍助) / 가공(加功)

방향(方向) / 향방(向方), 길냄

배급(配給) / 별러주기, 노나주기, 태움(일정한 시기나

일정한 방법으로 받음을「타다」고 말하고

이처럼 주는 것을「태우다」고 말함)

배달(配達) / 돌라줌

배상(賠償) / 갚음, 에움

배설(排泄) / 눔, 쌈, 쏟음

백묵(白墨) / 분필(粉筆)

백방(白放) / 전석(全釋)

변명(辨明) / 변백(辨白), 발명(發明)

변소(便所) / 회치장(灰治粧), 측간(厠間), 정랑(淨廊),

해우소(解憂所), 뒷간, 통수간, 먼데

변신(變身) / 몸갈이

별기(別記) / 별록(別錄)

별장(別莊) / 정자(亭子), 별업(別業), 별서(別墅)

별지(別紙) / 뒷붙인 종이, 딴종이

별표(別表) / 딴표

병동(病棟) / 병실(病室)

병사(兵士) / 병정(兵丁)

보고(報告) / 보장(報狀)

보루(堡壘) / 발판, 버팀자리

보류(保留) / 안서(安徐)

보석(保釋) / 보방(保放)

보조자(補助者) / 봉족(奉足), 봉죽, 서두리(일을 거들어주는 사람)

보증(保證) / 뒷다짐

보지(保持) / 지님, 건사, 간수

보통(普通) / 여상(如常), 예상(例常)

보호림(保護林) / 나무갓

보호색(保護色) / 가림색

복기(復碁) / 복국(復局)

복리(復利) / 이상가리(利上加利)

복명(復命) / 반명(返命), 회보(回報)

본국(本國) / 밑나라:「본나라」는 개화기 때 만들어진 말임

봉급(俸給) / 월급(月給). 달삯(「달품으로 받는 품삯」이라는

말로, 예전부터 써오던 말임)

봉함(封緘) / 봉투 붙임

부과금(賦課金) / 물림돈, 매김돈

부도(不渡) / 못 치름, 안 치름

부락(部落) / 마을, 동네:「부락」이라는 말은 원래 일본에서

천민들이 살던 특수지역을 일컫던 것으로,

일본제국주의자들이 우리 민족을 멸시하는 뜻에서 썼던 말임

부랑자(浮浪者) / 부객(浮客)

부부(夫婦) / 내외(內外), 가시버시, 한솔, 팍내

부응(副應) / 미좇음

부인(婦人) / 아낙

부전(附箋) / 찌지

부지(敷地) / 기지(基址·基地), 터, 터전

부[分] / 푼

분뇨(糞尿) / 똥오줌

분만(分娩) / 해산(解産), 아기나히

분배(分配) / 노느매기

불경기(不景氣) / 세월없다, 세월 언짢다, 언짢은 세월

불구자(不具者) / 병신, 나간이

불모지(不毛地) / 불근닥세리

불완전(不完全) / 안옹근

불입(拂入) / 치러넣기, 치러넣다

비고(備考) / 잡이:「잡아둘 것」이라는 말인데

「잡」은 주의하다·작정하다·알아두다 들의

뜻을 가졌으므로 「비고」의 뜻에 가깝다고 봄

비교(比較) / 맞댐, 견줌, 뼘어봄, 가잘빔

비번(非番) / 난번

비서(秘書) / 앞방석

비용(費用) / 부비, 경비, 쓰임, 씀씀이, 해자(「쓰다」는 말로

속담에 「이웃집에서 말을 잡는데 우리집에는 소금이

해자다」라는 말이 있고 옛 글에서는 이 말을 많이 썼음)

비원(秘苑) / 금원(禁苑), 금지(禁地)

비판(批判) / 꼬집음, 밝혀짐

빈민굴(貧民窟) / 외주물구석:마당이 없고 안이 길 밖에서 들여다보이는

보잘것없는 집을 「외주물집」이라 함

빈핍(貧乏) / 가난하다, 구차하다

사건(事件) / 등사(等事)

사고(事故) / 연고(緣故), 사유(事由)

사교(社交) / 섞사귐

사료(飼料) / 우리먹이

사망(死亡) / 물고(物故), 땅보탬, 올림대놓다

사물(事物) / 일몬

사식(私食) / 민식(民食)

사육(飼育) / 사양(飼養)

사임(辭任) / 사체(辭遞)

사형(死刑) / 정형(正刑), 정법(正法), 일률(一律), 대벽(大壁?)

사형(私刑) / 사매질

산맥(山脈) / 정맥(正脈), 멧발

산보(散步) / 소풍, 거鎫(마당에서나 가까운 곳에서 운동삼아

일없이 천천히 다니는 것을「거닐다」고 하니

「거鎫」이 맞음)

산판(算盤) / 주판, 수판

산하(傘下) / 휘하(麾下), 그늘

살포(撒布) / 뿌림

삼목치수(三目置數) / 셋겹복(腹)

삼엄(森嚴) / 무시무시함

삼일분(三日分) / 사흘치

상담(相談) / 상의, 의논, 문의, 협의, 타협

상대(相對) / 맞수, 맞잡이

상신(上申) / 사리

상업(商業) / 상고(商賈), 장사

상의(上衣) / 저고리, 윗막이

상인(商人) / 장사치, 장사꾼, 흥정바지

상품목록(商品目錄) / 발기, 장기(掌記)

상황(狀況) / 된판, 됨새

상황(狀況) / 일된 꼴

색색(色色) / 여러 가지, 갖가지로

색인(索引) / 찾아보기

생과자(生菓子) / 무른 과자

생략(省略) / 줄임

생물(生物) / 미적이(동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임)

생산고(生産高) / 생산액(生産額), 생산량

생산자(生産者) / 만든 사람

생산체계(生産體系) / 업주가리(業主加利)

생식기(生殖器) / 부끄리, 불이틀

생활(生活) / 생애(生涯), 삶

생활비(生活費) / 자생(資生)

서류(書類) / 서계(書契)

서약(誓約) / 다짐 : 단단히 다져서 분명한 대답을 받는다는

뜻으로 이두(吏讀)임

서약서(誓約書) / 다짐글

석공(石工) / 석수(石手), 석수장이, 돌쪼시

석방(釋放) / 백방(白放), 전석(全釋)

석탄(石炭) / 땅숯

선가(船價) / 뱃삯

선금(先金) / 전금(前金), 앞돈, 민값

선동(煽動) / 충동(衝動)

선망(羨望) / 부러워함

선배(先輩) / 전배(前輩)

선번(先番) / 복(腹;바둑의 지경)

선이자(先利子) / 선변(先邊)

설계(設計) / 마련

섭씨구도사부 / 섭씨구도사분

성교(性交) / 교합(交合), 어루기

성점(星点) / 화점(花點), 매화점(梅花點)

성토(聲討) / 따져 밝힘

세대(世帶) / 가구(家口), 살림, 식구

세대주(世帶主) / 가구주(家口主), 살림주인

세척(洗滌) / 씻음

소녀(少女) / 아가씨

소년(少年) / 도령(道令)

소도(小刀) / 찬칼, 주머니칼

소매(小賣) / 산매(散賣), 쪼아팔기

소매점(小賣店) / 산매점(散賣店), 구멍가게

소변(小便) / 오줌, 소피, 작은것, 소마

소비자(消費者) / 쓰는 사람

소설가(小說家) / 글지:중세어「글지이」에서「이」가 떨어져

굳은 말로 근래까지 쓰였음

소송(訴訟) / 정소(呈訴), 정장(呈狀)

소작(小作) / 병작(竝作), 타작(打作), 반타작(半打作),

배메기(땅임자와 농사꾼이 소출을 똑같이 나눠갖던 제도)

소절수(小切手) / 수표(手票)

소제(掃除) / 청소(淸掃), 쓰레질, 치움질

소주밀식(小株密植) / 잔포기 종종모

속성(屬性) / 바탈, 속탈

쇠약(衰弱) / 탈진(脫盡)

수거(收去) / 거둬들임

수당(手當) / 가봉(加俸), 별급(別給)

수면(睡眠) / 잠

수미(솺米) / 찹쌀

수배(手配) / 지위(知委)

수색(搜索) / 뒨장질

수속(手續) / 절차(節次)

수송(輸送) / 나름

수수(授受) / 여수(與受), 주고받기

수순(手順) / 순서(順序), 애차(埃次), 윤서(倫序),

순차(順次), 과정(過程), 차례

수용소(收容所) / 모아 가둔 곳

수유(授乳) / 젖먹임

수입(輸入) / 사들임

수작업(手作業) / 손일

수제품(手製品) / 손치

수준(水準) / 기준(基準), 터거리

수출(輸出) / 내다팖

수혈(輸血) / 피넣음

수확고(收穫高) / 소출(所出)

숙어(熟語) / 문자(文字)

숙직(宿直)·당직(當直) / 상직(上直)

순번(順番) / 차례(次例)

승부(勝負) / 수영(輸촁), 영수(촁輸)

승진(昇進) / 승체(昇遞)

승합자동차(乘合自動車) / 두리기차:여러 사람이 함께 쓰는 것을

「두리기」라고 하며 여러 사람이 같이

둘러앉아 먹는 밥상을 「두리기상」

이라고 함

시가전(市街戰) / 항전(巷戰)

시간(時間) / 시각(時刻)

시계(時計) / 시진종표(時辰鍾表)

시달(示達) / 통첩(通牒), 알림

시말서(始末書) / 전말서(顚末書), 사과장

시비(是非) / 불가불(不可不), 꼭

시사(示唆) / 암시(暗示), 귀띔, 귀틈

시종(始終) / 종시(終始), 항상(恒常), 늘

식료품(食料品) / 음식감, 음식거리

식모(食母) / 동자아치:집에서 하는 살림일을「동자」라 하고

그 일을 함을「동자하다」라고 하며, 그 일 하는

사람을「동자아치」라고 했음. 여자들이 동자할

때 입는 바지를 「동자바지」라 함.

요즈음 일컬어지는 「가정부」나 「파출부」도

마찬가지임

신경(神經) / 깃줄

신고(申告) / 사리: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올리는 글을「사리」

또는「상사리」라고 함

신랑(新郞) / 새서방

신문(新聞) / 새소식

신문(訊問) / 캐물음

신부(新婦) / 새댁, 새악시

신분보증서(身分保證書) / 보단자(保單子)

신속(迅速) / 잼, 날램

신원조회(身元照會) / 근각(根脚)

신원(身元) / 근지(根地)

신음(呻吟) / 끙끙거림

신청(申請) / 청원(請願)

실제(實際) / 참, 참으로, 알로

실착(失錯) / 실수(失手)

실체(實體) / 알짜

실패(失敗) / 낭패(狼狽)

심복부하(心復部下) / 긴목

심복(心腹) / 복심(腹心)

심지(心地) / 심기(心氣)

십이지장충병(十二指腸蟲病) / 채독(菜毒)

십인십색(十人十色) / 가지각색

십장(什長) / 패두(牌頭)

십팔번(十八番) / 더늠(판소리 명창이 어떤 바탕의 한대목을

절묘하게 다듬어 놓은 소리를 말하는 것으로,

「아무개의 더늠은 무엇이다」「더늠 한자리

풀어보지」 하고 말하였음)

악보(樂譜) / 곡보(曲譜), 음보(音譜)

안내(案內) / 인도(引導), 길아룀

안내자(案內者) / 인도자, 길라잡이

안내장(案內狀) / 청첩장(請牒狀)

안출(案出) / 생각해냄, 고안해냄

암매장(暗埋葬) / 밀장(密葬)

압맥(壓麥) / 납작보리

압수(押收) / 몰수(沒收)

압승(壓勝) / 눌러 이김

앙결재(仰決裁) / 갖돌림:예전 관청에서 쓰던 말로서 어느 구실에서

문서의 재결을 맡기 위해 그 문서를 가지고 상사

에게 돌아다님을 가리키는데 「가지고 돌림」이

줄어든 말임

애매(曖昧) / 모호(模糊)

애무(愛撫) / 어루만짐

애연가(愛煙家) / 골초, 용고뚜리, 담뱃질꾼(북한)

애인(愛人) / 정인(情人), 그림내(「내가 그리워하는 사람」이라는

뜻으로「그리움」의 준말이「그림」임)

애자(碍子) / 뚱딴지, 막이

애정(愛情) / 정애(情愛), 정분(情分)

액자(額子) / 네모틀

앵화(櫻花) / 벚꽃, 앵두꽃

약속(約束) / 약조(約條), 매김, 다짐(관아에서 무슨 일로

불려온 사람한테 단단히 다져서 분명한 대답을

받던 것으로, 이두임)

약탈자(掠奪者) / 탈쇠, 영노떼

약혼(約婚) / 정혼(定婚), 혼약(婚約)

약혼식(約婚式) / 사돈보기

양(孃) / 아기씨

양도(讓渡) / 넘겨줌, 넘겨주기

양복지(洋服地) / 양복감

여백(餘白) / 빈데

여성기(女性器) / 암부끄리, 암불이틀

여인숙(旅人宿) / 주막, 술막

역립(逆立) / 곤두서기, 물구나무서기

연락(連絡) / 이음, 알림

연봉(年俸) / 새경:지금은 거의 없어졌으나 70년대까지 시골 부잣집에서

머슴을 살던 사람들은 한 해에 벼 얼마 짝으로 품삯을 정하고

들어갔음. 「머슴이 받던 품삯」이라는 말이 귀에

거슬리겠지만, 자본가에게 고용되어 일을 해주는 대가로

삯을 받는 것이니, 그 속내는 똑같다고 봄

연쇄점(連鎖店) / 사슬가게

연습(練習) / 익임벌

연약(軟弱) / 가녀림

연와(煉瓦) / 벽돌

연재소설(連載小說) / 이어지는 소설

연주(演奏) / 판놀음

연중행사(年中行事) / 햇일:그 날에 할 일을「날일」,

그 달에 할 일을 「달일」이라

하고 그 해에 할 일을「햇일」

이라고 하면 좋을 듯

연행(連行) / 압행(押行)

염료(染料) / 물감

염(鹽)고등어 / 얼간고등어, 간고등어, 자반고등어

엽기적(獵奇的) / 끔찍한

엽연초(葉煙草) / 잎담배

영면(永眠) / 죽음

영수증(領收證) / 잣문[尺文]

영위(營爲)하다 / 이루살다, 이루어 살다

예문(例文) / 보기글

예술가(藝術家) / 쟁이

예(例)를 들면 / 이를테면

오류(誤謬) / 잘못됨, 그릇됨

오수(汚水) / 구정물, 더러운 물

오차(御茶·오쟈) / 차

완결(完結) / 완료(完了), 완제(完濟), 끝남

완전(完全) / 옹근

왕왕(往往) / 이따금

외출(外出) / 출입(出入), 나들이

요리사(料理師) / 숙수(熟手), 칼짜(예전에는 여자만 했음)

용달사(用達社) / 공물방(貢物房):예전에 개인이나 혹은 몇 사람이

어느 관청에 소용되는 물품을 도맡아 대고 월말이나

연말에 그 값을 돈이나 피륙 또는 곡식으로 받던

곳을 말함.

용도(用度) / 씀씀이, 쓰임쓰임, 쓸모

우동 / 왜면(倭麵), 왜국수

우차(牛車) / 달구지

우화(寓話) / 우언(寓言), 빗댄 이야기, 비사치기

운동복(運動服) / 활개옷

운명(運命) / 살매

운반비(運般費) / 태가(?價)

원가(原價) / 본금(本金), 본값

원고(原稿) / 초고(草稿), 글초

원금(原金) / 본전(本錢), 본밑

원리(原利) / 본변(本邊)

원산지(原産地) / 자국:상품이나 농산물이 생산되는 곳, 일이 발단된 곳

원시(遠視) / 멀리보기

원족(遠足) / 원행(遠行), 먼걸음, 소풍(消風:정신과 몸을 쉬기 위해

밖에 나가서 거니는 것). 먼거鎫

원칙(原則) / 규칙(規則), 할대

원형(原形) / 본디꼴

월권(越權) / 막부림

위로금(慰勞金) / 인정(人情)

위문(慰問) / 어루만짐, 풀쳐줌

유곽(遊廓) / 청루(淸樓), 갈보집, 삼패(三牌)집

유도(柔道) / 유술(柔術)

유부남(有婦男) / 핫아비

유부녀(有夫女) / 핫어미

유예(猶豫) / 끎, 미뤄둠

유용(流用) / 나이(那侈)

유족(遺族) / 시친(屍親)

유탈(遺脫) / 빠뜨림

유흥(遊興) / 놀음, 놀이

윤곽(輪廓) / 둘레, 언저리, 대강

윤중제(輪中堤) / 섬둑

은하수(銀河水) / 미리내

음미(吟味) / 맛봄

응고(凝固)하다 / 굳다, 솔다

의미(意味) / 뜻

의자(椅子) / 교의(交椅), 걸상

이모작(二毛作) / 그루갈이:밭 부치는 것을「그루」라고 하니,

1년에 한 번 부치는 것을「한그루 부치다」하고,

두 번 부치는 것을「두그루 부치다」라고 함

이목치수(二目置數) / 겹복(腹)

이부이자[二分利子] / 두푼변

이서(裏書) / 뒤다짐, 뒷도장, 뒷보증

이완(弛緩) / 느즈러짐

이유(理由) / 까닭, 쫑알

이윤(利潤) / 남긴 돈

이자(利子) / 변, 변리, 길미

이장(里長) / 이정(里正)

이전계(利轉屆) / 이사신고(移徙申告)

이조(李朝) / 조선(朝鮮)

이중생리(利中生利) / 이중지리(利中之利)

이첩(移牒) / 전달(傳達)

이할이자(二割利子) / 곱대돈변

이혼(離婚) / 해혼(解婚)

인간(人間) / 인생(人生), 사람

인계(引繼) / 전장(傳掌), 넘김

인기물(人氣物) / 세월난 것

인기(人氣) / 물망(物望), 명망(名望), 기풍(氣風), 세월이 좋다

인부(人夫) / 인정(人丁), 삯꾼, 일꾼, 품팔이꾼, 막벌이꾼, 짐꾼, 모꾼

인분(人糞) / 똥, 뒷거름

인수(引受) / 중기(中記 ; 관리의 지경)

인양(引揚) / 끌어올림, 걷어감, 몰아감

인조성기(人造性器) / 각좆

인출(引出) / 끌어냄, 서랍

인하(引下) / 끌어내림, 내림

일단(一旦) / 우선, 먼저, 한매, 한춤

일당(一黨) / 일미(一味)

일당(日當) / 날삯

일반(一般) / 여느, 두루

일부오리이자[一分五利利子] / 푼오리변

일부(日付) / 날짜, 날짜매기

일상(日常) / 나날

일생(一生) / 평생(平生), 한뉘, 한살매

일석이조(一石二鳥) / 일거양득(一擧兩得)

일응(一應) / 대체, 대강

일인분(一人分) / 한사람몫, 한사람치

일인자(一人者) / 도꼭지

일품요리(一品料理) / 단찬

일할오부[一割五分] / 일할오분

일할이자(一割利子) / 대돈변, 한돈변

임금(賃金) / 품삯

임대료(賃貸料) / 빌린 삯, 셋돈

임명장(任命狀) / 고신(告身)

입구(入口) / 들목, 어구, 들목쟁이

입장권(入場券) / 들임표

입장무료(入場無料) / 거저들임

입장(立場) / 처지, 선자리

입체(立替) / 선대(先貸), 치름

입하(入荷) / 도착, 들온 물건

입회인(立會人) / 안동(眼同)

입회(立會) / 징참

자격(資格) / 감목

자금(資金) / 밑천

자본(資本) / 밑천, 본밑, 찬돈

자세(仔細) / 곡절, 까닭

자원(資源) / 밑거리

자위(自慰) / 권신(拳腎), 수음(手淫), 손장난, 용두질

작문(作文) / 글짓기

잔고(殘高) / 잔액(殘額), 남은 돈

잔고(殘高) / 잔액(殘額), 시재(時在), 나머지

잔반(殘飯) / 대궁밥, 대궁

잡답(雜畓) / 복닥거림

잡화점(雜貨店) / 황화방(荒貨房), 황아전

장면(場面) / 마당, 판(이 장면을「이 판」, 그 장면을「그 판」,

한 장면을「한 판」, 애걸하는 장면을「애걸하는 판」

이라고 말하면 좋음)

장부(帳簿) / 치부책(置簿冊)

장소(場所) / 처소(處所), 곳

장애물(障碍物) / 가탈, 거침새

장질부사(腸窒扶斯) / 장감(長感)

장치(裝置) / 차림, 차려놓기

재단(裁斷) / 마름질

재봉(裁縫) / 바느질

재산(財産) / 재물(財物)

재야(在野) / 초야(草野)

재판기록(裁判記錄) / 공안(公案)

저리(低利) / 저변(低邊), 경변(輕邊), 헐변(歇邊), 찬변

저항(抵抗) / 들끼

적자(赤字) / 결손(缺損), 부족(不足)

전말(顚末) / 시종(始終)

전멸(全滅) / 몰사(沒死), 몰살(沒殺)

전연(全然) / 전혀, 통, 바이, 쇠배

전쟁(戰爭) / 전역(戰役)

전집(全集) / 전서(全書)

절개지(切開地) / 잘린 땅

점(店) / 가게, 전방

점막(粘膜) / 끈끈막

정가(正價) / 맨값

정권(政權) / 권병(權柄)

정력(精力) / 기력(氣力), 좆심

정부(情夫) / 곳남진(곳<꽃>+남진<남자>), 몸것

정부(情婦) / 곳겨집(곳<꽃>+겨집<계집>), 몸것

정사(情事) / 염참것

정석(定石) / 전례수(前例手)

정수(正手) / 법수(法手)

정액(精液) / 정수(精水), 좆물

정원(庭園) / 동산, 뜰, 뒤안, 위원

정원사(庭園師) / 동산바치

정찰(正札) / 값표, 값맨표

정찰제(正札制) / 값매기, 값표 붙이기

정치(政治) / 정사(政事)

정탐(偵探) / 기찰(譏察)

제문제(諸問題) / 여러 골칫거리

제반(諸般) / 온갖

제방(堤防) / 방죽, 둑

제전(祭典) / 식전(式典)

제(祭) / ①굿 ②놀이 ③제사

조견표(早見表) / 한눈보기표

조달(調達) / 만들어댐, 지어댐, 바침

조립(組立) / 맞춤, 꾸밈, 짬

조망(眺望) / 안계(眼界), 바라봄

조사(調査) / 상고(詳考), 사실(査實)

조산원(助産員) / 삼할미, 삼에미

조악(粗惡) / 볼품없음

조잡(粗雜) / 막됨

조제품(粗製品) / 막치, 건목

조직(組織) / 짜임, 짬

조합(組合) / 계(契), 도중(都中)

조화(調和) / 고름, 어울림, 아울림(아우러지다, 아울리다)

조(組) / 반, 패, 두레(社·契)

종범(從犯) / 간범(干犯)

종조(從組) / 가로짜기

주둔(駐屯) / 머무름

주례(主禮) / 길눈이, 잔치잡이

주범(主犯) / 원범(元犯)

주부(主婦) / 안주인

주택(住宅) / 거택(居宅)

주형(鑄型) / 거푸집

중매인(仲買人) / 시쾌(市僧), 중도위, 거간, 주릅

중식(中食) / 주식(晝食), 점심

중형(重刑) / 중벽(重벽?)

증거(證據) / 갓대

증명(證明) / 밝힘

증서(證書) / 명문(明文)

지구(地球) / 땅별

지불(支拂) / 치름, 치르기

지양(止揚) / 얹어두기, 치워 없음

지역(地域) / 바닥

지연(遲延) / 늦춤, 미적거림

지진(地震) / 지동(地動)

지참(持參) / 가짐, 지님

지출(支出) / 출물(出物)

지폐(紙幣) / 지전(紙錢), 지화(紙貨), 종이돈

지향(志向) / 의향(意向)

직공(職工) / 고공(雇工), 품팔이

직업(職業) / 직처(職處), 생애(生涯)

직장(職場) / 직처(職處)

진검승부(眞劒勝負) / 멱치기(목숨을 건 승부)

진면목(眞面目) / 참모습, 본바탕

진물(進物) / 선물(膳物), 봉물(封物)

진척(進陟) / 승체(昇遞), 승진(昇進), 매개(우리나라에서는 자리가

올라가고 일이 진행돼 간다는 두 가지 뜻으로 쓰이고

있는데, 일본에서는 자리가 올라가는 지경에만

「進陟」을 씀)

질서(秩序) / 듬 : 한낱 벌레인 벌의 모듬살이도 법제(法制)가 있는데

사람살이에 법도(法度)가 없어서야 되겠느냐고 탓하는

뜻에서 쓰이던 속담으로 「벌도 듬이 있지」가 있음

질타(叱咤) / 꾸지람

집배원(集配員) / 체전원(遞傳員), 체부(遞夫)

집필(執筆)하다 / 붓하다(붓을 놀려 글을 쓰다)

차금(借金) / 빚, 빚돈, 빚내기, 빚얻기

차별(差別) / 층하(여럿에게 다 같은 대접을 하지 아니하고 층을

다르게 대접한다는 말)

차비(車費) / 노수(路需), 노자(路資), 행자(行資)

차압(差押) / 덮잡기, 덮잡다(덮어 눌러서 잡아놓는다는 말이니,

물건 임자가 원하든지 원하지 않든지 거리끼지 않고

행함을 말함)

차인잔고(差引殘高) / 상제잔액(相除殘額)

차입(差入) / 들임, 옥바라지

차출(差出) / 냄, 내보냄

착수(着手) / 손댐, 손대기

참호(塹壕) / 구덩이

창의(創意) / 창지(創智)

창조자(創造者) / 애짓는이

창조하다 / 애짓다

처방(處方) / 화제(和濟), 약방(藥方), 방(方)

천기(天氣) / 일기(日氣), 날씨

천연두(天然痘) / 마마, 손님

천원(天元) / 어복(於腹), 배꼽점(바둑판의 한가운뎃점)

천정(天井) / 천장(天障), 보꾹, 반자

첨부(添付) / 껴붙임

청결(淸潔) / 깨끗함, 갓맑음(조금도 다른 것이 섞이지 않고 깨끗함)

청부(請負) / 도급(都給), 돗내기

청취자(聽取者) / 듣는이

체납(滯納) / 못냄, 밀림

체온(體溫) / 몸끼

체포(逮捕) / 착라(捉拏)

총괄(總括) / 싸잡음, 통틂

추서(追書) / 부기(附記), 붙임

추월(追越) / 따라넘다, 좇넘다(좇아가서 넘어서다),

제치다(여럿이 달리기를 할 적에 뒤에 떨어졌던

사람이 힘을 앞의 사람을 이기고 넘어설 적마다

사람들이 말하기를『하나 제쳤다』『둘 제쳤다』고 함)

추측(推測) / 어레짐작(겉가량으로 헤아려 짐작함)

축소(縮小) / 오므림, 졸아듦

축의(祝儀) / 상급(賞給), 행하(行下)

출구(出口) / 날목, 날목쟁이출두(出頭)/출석(出席)

출근부(出勤簿) / 일터치부책

출산후유증(出産後遺症) / 산티

출산(出産) / 해산(解産), 몸풀기, 아기나히

출영(出迎) / 마중, 맞이

출원(出願) / 청원(請願)

출입구(出入口) / 드날목

출장(出張) / 파송(波送), 파견(派遣)

출하(出荷) / 물건부침, 물건내기

췌언(贅言) / 군말

취급(取扱) / 처리(處理), 다룸, 다루기, 다룸질, 다룸새,

다룸다룸(다루는 방법)

취소(取消) / 무름, 지움, 푸지위(무슨 일을 하라고 명령을

내리는 것을 「지위(知委)하다」라고 말하는데

한번 지위했던 것을 다시 무르고 하지 말라고 함을

「푸지위하다」라고 말함)

취약(脆弱) / 부실(不實)

취체역(取締役) / 유사(有司 ; 이제는 거의 없어졌지만 한때 무슨

주식회사의 이사를「취체역」이라 하고 대표이사

사장을 「대표취체역」이라 했는데 「주식회사」

「이사」 「대표이사」 「사장」도 다 일본에서

온 것이며, 우리 나라에서는 어떤 일에 중심이

되어 일을 처리하는 소임 가진 이를「유사」라

했고 그 중의 머리 되는 이를「도유사(都有司)」

라 했음)

취체(取締) / 단속

치매(癡?) / 망령(妄靈)

치명상(致命傷) / 정상(正傷)

치사(致死) / 살사(殺死)

친전(親展) / 몸소 : 편지 겉봉의 받을 사람 이름 밑에 쓰면 좋은데

평교간(平交間)이나 손아랫사람한테만 쓸 수 있음

친절(親切) / 다정(多情)

침몰(沈沒) / 엄몰(淹沒), 윤몰(淪沒)

타당(妥當) / 마땅

탄생일(誕生日) / 생일, 생신(生辰)

탄원(歎願) / 발괄(白活=관청에 억울한 사정을 글이나 말로

하소연하던 것으로 이두임)

탄환(彈丸) / 철환(鐵丸), 탄알, 총알

탑승(搭乘) / 탐, 오름

토대(土臺) / 지대(地臺)

토론(討論) / 꼭의논

토산(土産) / 토의(土宜), 봉물(封物), 물산(物産), 바닥나히

토수(土手) / 미장이, 둑

통역(通譯) / 통변(通辯)

통일(統一) / 일통(一統)

통지(通知) / 기별(奇別·寄別)

틈입(闖入) / 끼어듦

파면(罷免) / 환체(換遞)

파탄(破綻) / 결딴남

판결문(判決文) / 완문(完文)

판매고(販賣高) / 판매액(販賣額), 판매량

판매인(販賣人) / 흥판인(興販人)

판별력(判別力) / 지각(知覺)

평가(評價) / 값치기, 친값, 값매김

평촌(坪村) / 벌말:「기름지고 활찐 벌판마을」이라는 뜻임.

「평촌」은 대표적인 왜식 한자로, 시골 촌(村)자가

들어가는 땅이름은 거의 일제 때 바꾼 것임. 광복 후

반백년이 지난 지금 순우리말로 된 마을 이름을

일본의 땅과 마을 이름에 많이 나오는 촌(무라)자를

붙여 바꾼다는 것은 참으로 부끄러운 일이 아닐 수

없음

폐결핵(肺結核) / 노점(깜漸), 부족증(不足症), 허로(虛깜)

폐수(廢水) / 버림물, 썩은 물

포경(包莖) / 우멍거지

포구(浦口) / 항구(港口), 갯머리

포로(捕虜) / 부로(浮虜), 사로잡힌 사람

포석(布石) / 초석(草石), 배자(排子)

포주(抱主) / 모갑이

포착(捕捉) / 붙잡음, 미립 얻음

폭소(爆笑) / 한웃음

표구(表具) / 표장(表裝), 장황(粧黃)

표어(標語) / 구호(口號)

표지(表紙) / 책껍질, 책껍데기

품명(品名) / 물명(物名)

품신(稟申) / 사리

품의(稟議) / 문의(問議)

품절(品切) / 떨어짐, 다 나감

피복(被服) / 입성, 옷

피혁공(皮革工) / 무두장이(예전에는 여자만 하였음)

하물(荷物) / 짐, 봇짐, 보따리

하수(下手) / 용공(庸工;솜씨가 용렬한 공장바치)

하숙(下宿) / 사관(舍館·私館), 사처(私處)

하주(荷主) / 짐주인, 짐임자

학우(學友) / 동접(同接), 동연(同硯), 동학(同學), 글벗, 글동무

학질(虐?疾) / 하루걸이, 고곰, 고금

한(限) / …에는, 하는 이상, 하는 다음에는

할당(割當) / 벼름, 몫

할인(割引) / 에누리, 벗김

할(割) / 돈

함구(緘口) / 겸구(箝口), 꿰맨 입

합격(合格) / 입격(入格)

합동심문(合同審問) / 동추(同推)

합리(合理) / 이승(理勝)

합의(合議) / 마주의논

합창(合唱) / 모뽀리, 모뽑기

항목(項目) / 조목(條目)

해녀(海女) / 잠녀(潛女), 해귀(海鬼), 보자기, 잠수(潛嫂)

해당(該當) / 당해(當該)

해소(解消) / 빙해(氷解)

핵심(核心) / 고갱이, 알심, 좆대

행상인(行商人) / 도부꾼, 장돌림

행상(行商) / 도붓장사, 도부(장사치가 물건을 가지고 여러 곳으로

돌아다니면서 파는 것을 「도부」라 하고 그렇게 하는

행동을 「도부친다」고 하였음)

헌병(憲兵) / 군뢰(軍牢), 뇌졸(牢卒), 뇌자(牢子)

혁명(革命) / 혁개(革改), 혁세(革世)

현관(玄關) / 문간, 나들간

현금(現金) / 직전(直錢), 맞돈, 뇐돈(「놓여 있는 돈」이 준 말)

현미(玄米) / 매갈이쌀, 매조미쌀

현실(現實) / 시재(時在)

현장검거(現場檢擧) / 등시포착(等時捕捉)

현훈(眩暈) / 어지러움

혈액(血液) / 피

형사사건(刑事事件) / 옥사(獄事)

형(型) / 판, 틀, 골:「망건틀」「짚신틀」과 같이 모자나 신

또는 부어서 만드는 물건을 만들 때나 만든 뒤에

그 물건의 테두리를 잡는 틀

혜성(彗星) / 미성(尾星), 꼬리별, 살별, 길쓸별

호선(互先) / 적수(敵手)

호열자(虎列刺) / 괴질(怪疾), 쥐통

호주(戶主) / 호수(戶首)

혼란상태(混亂狀態) / 너더분한 꼴

혼합(混合) / 범벅됨, 뒤버물림

화대(花代) / 꽃값, 해웃값, 해우차, 화채(花債)

화류계여자(花柳界女子) / 아랫녘장수

화류병(花柳病) / 창병(瘡病), 당창(唐瘡), 용병

화물선(貨物船) / 짐배, 시선배(황해와 한강 하류를 오가던 짐배임)

화장(化粧) / 단장(丹粧), 성적(成赤:혼인날 새악시가 얼굴에

분을 바르고 연지 곤지 찍는 것)

화전(火田) / 화경(火耕), 부대앝, 부대기, 부대

화훼(花卉) / 화초(花草)

황폐(荒廢) / 쑥대밭

회중시계 / 몸종표(鍾票), 몸시진(時辰)

회진(灰燼) / 타없어짐

횡령(橫領) / 포흠(逋欠)

횡조(橫組) / 세로짜기

후원자(後援者) / 벗바리, 물이꾸럭

후절수(後切手) / 되치는 수, 돌밑수

휴대(携帶) / 지님

흑인(黑人) / 토인(土人)

흑판(黑板) / 칠판(漆板)

흥미진진(興味津津) / 재미짐

힐문(詰問) / 따져물음

댓글